일본의 봉오도리는 크고 작은 규모의 행사가 있습니다. 오늘 소개할 것은 일본 각지의 봉오도리 중에서 특히 유명한 '일본의 3대 봉오도리'입니다.
도쿠시마의 아와오도리(徳島, 阿波踊り)
아와오도리(阿波踊り)는 400년이 넘는 역사를 가진 도쿠시마가 세계에 자랑하는 전통 예술입니다. 지금은 마을 부흥의 일환으로 도쿄의 코엔지(高円寺)나 사이타마 현의 미나미코시가야(南越谷) 등 전국 각지에서 아와오도리가 개최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본고장 도쿠시마시에서는 매년 8월 12일부터 15일까지 국내외에서 100만 명이 넘는 관광객이 방문하는 등 일본 최대의 이벤트가 되고 있습니다.
무희나 관객 수, 규모에 관해서 일본 제일의 봉오도리입니다. 1804년~1830년 문화문정 연간에 도쿠시마 상인들이 춤을 추면서 현대에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다이코(太鼓: 북)과 샤미센(三味線: 일본 고유의 음악에 사용하는, 세 개의 줄이 있는 현악기; 삼현금), 시노부에(篠笛: 가는 대나무로 만든 피리) 등의 반주에 의해 무희들이 도쿠시마 시가를 춤추며 다닙니다. '춤추는 바보로 보는 바보, 같은 바보이면서 춤을 추지 않으면 손해' 라는 문구도 유명해 도쿠시마 전체가 의욕과 열기를 가득 찹니다. 도쿠시마시 중심부에는 일 년 내내 아와오도리를 즐길 수 있는 아와오도리 회관도 있어, 도쿠시마시에서는 언제든지 아와오도리의 매력을 접할 수 있습니다.
아키타현의 니시모나이봉오도리(秋田, 西馬音内の盆踊り)
니시모나이봉오도리의 기원은 기록된 것이 전혀 없기 때문에 모두 전설에 의한 것이라고 합니다. 가장 오래된 기원으로는 가마쿠라 시대 쇼오(正応, 1288~1293년)에 미나모토(源親)라는 수행승이 자오곤겐(蔵王権現: 오늘날의 니시모나이 미타케 신사(西馬音内御嶽神社))을 권청하여 이곳 경내에서 풍년을 기원하기 위해 춤추게 한 것이라는 설이 있습니다. 이후 세키가하라(関ヶ原)전투에서 패해 게이초 6년(慶長 1601년)에 망한 니시모나이(西馬音内) 성주 오노데라(小野寺) 일족을 추모하며 토착 신하들이 호센지(宝泉寺) 경내에서 벌였던 모쟈오도리(亡者踊: 망자춤)이 어합류한 것이라고 합니다. 또한 춤의 장소가 현재의 니시모나이혼마치도리(西馬音内本町通り)로 옮겨간 것은 덴메이(天明: 1781~1789) 무렵이라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오늘날은 아키타현 우고마치(羽後町)에서는 매년 8월 16일~18일에 '니시모나이봉오도리(西馬音内の盆踊り)'가 열립니다. 이는 풍성한 결실을 기원하며 조상들과 함께 추는 행사로 외형적인 예술성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메이지 40년에는 배우였던 가와히가시 헤키고토(河東碧梧桐)에 따르면 '처음 그림이 되는 봉오도리를 보았다'라고 책에 남겼다고 합니다.
기후현 구죠오도리(岐阜, 郡上踊り)
구죠오도리(郡上踊り)는 40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에도시대 초기에 구죠하치만(郡上八幡) 성주 엔도 요시타카(遠藤慶隆)가 군민들의 융화를 도모하기 위해 곳곳의 춤을 모아 성하의 오봉제(お盆の祭)로 장려한 것이 시초라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오늘날의 구죠오도리는 기후현 구죠시(岐阜県郡上市)에서 매년 7월 중순~9월 초순까지, 약 32일간(밤) 춤을 추는 봉오도리입니다. 이 기간 동안 추석이 도래하기 때문에 8월 13일~16일에는 '오란봉에(盂蘭盆会, 우란분회)라는 테츠야오도리(徹夜踊り, 철야춤)가 개최됩니다. 중세의 오래된 춤의 흐름을 도입하면서 에도 시대에부터 본격적으로 봉오도리로 확산되었습니다. 당시 계급 등은 신경 쓰지 않고 다소 무례하게 추어도 좋다고 여겨졌던 흔적이 있기 때문에 오늘날에도 지역 주민과 관광객, 어른부터 어린이에 이르기까지 구분 없이 한 바퀴로 춤을 추는 매혹적인 봉오도리입니다.
<참고>
위 글은, <日本人でも意外に知らない?盆踊りの由来や基本、楽しみ方>, (https://haa.athuman.com/)
<阿波おどり>, https://www.city.tokushima.tokushima.jp/
을 일부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봉오도리에 대해서 알고 싶다면 아래를 클릭해 보세요.
2023.08.27 - [일본의 monogoto] - [일본의 모노고토] 일본의 주거문화 ‘다다미(畳)'의 유래와 기능
[다다미] 일본의 주거문화 ‘다다미(畳)'의 유래와 기능
다다미(畳)의 시작과 어원의 유래 일본 문화의 대부분은 고대 중국이나 한반도 전래의 것이 많지만, '다다미(畳)'는 야마토(大和) 민족의 생활 지혜가 만들어낸 주거문화의 한 부분이라고 합니다
monogotospacestory.tistory.com
2023.10.09 - [일본의 monogoto] - [일본의 모노고토] 일본의 고양이 인형, '마네키네코(招き猫)'의 유래와 이해
[일본의 모노고토] 일본의 고양이 인형, '마네키네코(招き猫)'의 유래와 이해
마네키네코(招き猫)란마네키네코는 에도에서 전국으로 퍼진 행운의 물건을 말합니다. 사랑스러운 포즈로 복을 가져다 주는 일본의 독자적인 행운의 물건을 뜻합니다. 에도 시대에 에도 마을의
monogotospacestory.tistory.com
2024.01.12 - [일본의 monogoto] - [일본의 모노고토] 일본의 박수 문화‘니레 니하쿠슈 이치레에(二礼二拍手一礼)’의 의미와 이해 👏
[일본의 모노고토] 일본의 박수 문화‘니레 니하쿠슈 이치레에(二礼二拍手一礼)’의 의미와 이
일본의 설날 오쇼가츠(お正月)에 니레 니하쿠슈 이치레에(二礼二拍手一礼)👏 일본의 새해는 매 해 1월 1일로 서력을 따릅니다. 일본의 새해 첫 행사는 새해 첫날부터 2~3일간 신사에 하츠모데(
monogotospacestory.tistory.com
'일본의 monogoto'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의 모노고토] 일본의 전통 결혼식 '신전식(神前式)'의 유래와 이해 (2) | 2023.09.10 |
---|---|
[일본의 모노고토] 일본의 주거문화 ‘다다미(畳)'의 유래와 기능 (0) | 2023.08.27 |
[일본의 모노고토] 불교의 염불춤(念仏踊り)에서 유래된 '봉오도리(盆踊り)' (3) | 2023.08.24 |
[일본의 모노고토] '오마모리(お守り)'에 대한 이해와 유래 (0) | 2023.08.19 |
[일본의 모노고토] '히나마츠리(ひな祭り)'에 대한 이해 (1) | 2023.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