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monogoto

[일본의 모노고토] 일본의 고양이 인형, '마네키네코(招き猫)'의 유래와 이해

모노고토 2023. 10. 9. 16:30

 
 
마네키네코(招き猫)란
마네키네코는 에도에서 전국으로 퍼진 행운의 물건을 말합니다. 사랑스러운 포즈로 복을 가져다 주는 일본의 독자적인 행운의 물건을 뜻합니다. 에도 시대에 에도 마을의 에도 문화속에서 탄생했다고 알려져 있으며, 그 인기는 전국으로 퍼져나갔습니다. 올리고 있는 손의 좌우에 따라 그 행운의 의미가 다른뿐만 아니라 산지에 따라 소재나 고양이의 표정도 다릅니다.
 

manekineko
(이미지: 마네키네코(招き猫), https://story.nakagawa-masashichi.jp/)

 

 

 
마네키네코(招き猫)의 주산지와 표현장르
지금도 일본의 다양한 가게와 그들의 처마 끝에서 볼 수 있으며, 상점번성과 천객만래(千客万来)등의 소원을 담아 꾸미는 행운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의미를 구현하기 위해 다양한 지역에서 마네키네코를 제작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마네키네코의 주요산지는 일본의 아이치현 세토시(愛知県瀬戸市), 도코나메시(常滑市), 이시카와현 가나자와시(石川県金沢市), 고마쓰시(小松市), 카가시(加賀市), 노미시(能美市)이며, 마네키네코를 구현해 내는 주요 장르는 공예입니다.
 

 

 
마네키네코(招き猫)의 손, 색깔, 소지품의 의미구별
마네키네코는 생각보다 다양한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그 모습과 부품 등의 형태와 색깔에 담긴 의미를 설명해 보겠습니다.
 

manekineko_te
(이미지: 마네키네코의 손의 의미, https://story.nakagawa-masashichi.jp/)

 
마네키네코(招き猫) 손의 방향에 따른 의미: 일반적으로 오른손을 들고 있는 것이 금전을 초대하고, 왼손을 들고 있는 것이 사람(손님)을 초대하는 의미로 통합니다. 그 유래는 확실하지 않으나, 많은 사람들이 주로 사용하는 오른손으로 돈을 다루는 경우가 많아 오른손을 들고 있는 마네키네코를 '금전의 초대'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합니다. 마네키네코 중에는 돈과 사람을 초대하려고 두 손을 든 형태의 것도 있지만, 만세를 부르는 모습이 과하다며 피하는 사람도 있다고 합니다.
 

 

 
마네키네코(招き猫) 손의 위치에 따른 의미: 마네키네코가 들고 있는 손의 높이에도 차이가 있습니다. 귀보다 높은 위치까지 손이 올라간 것을 '테나가(手長)', 귀보다 아래로 조심스럽게 손을 들고 있는 것을 '테미지카(手短)'라고 부릅니다. 손이 길게 뻗어 있을수록 먼 복이나 큰 복을 초래하고, 짧은 것은 가까운 복이나 소소한 행복을 초래한다고 합니다.
 

 

 

manekineko_color
(이미지: 마네키네코 색의 의미, https://story.nakagawa-masashichi.jp/)

 
마네키네코(招き猫)의 색의 의미: 흰색

예로부터 일반적으로 하얀색 마네키네코는, 새하얀 고양이나 하얀색의 바탕에 삼색(三毛, 미케: 백색·흑색·갈색이 섞인 털; 또, 그런 털의 고양이)으로 된 것이 많습니다. 순 흰색은 개운초복(開運招福)을 뜻하며 만사에 복을 가져다 준다고 합니다.

 

 
마네키네코(招き猫)의 색의 의미: 검은색
검은색 마네키네코는 액막이의 의미를 갖습니다. 서양에서는 불길하다고 여겨지는 검은 고양이지만, 일본에서는 밤눈이 밝거나 강한 영력을 가진다고 여겨졌기 때문입니다. '후쿠네코(福猫): 복고양이'로서 마귀나 행운, 교토지역에서는 상업의 번성을 상징하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마네키네코(招き猫)의 색의 의미: 붉은색
붉은색의 마네키네코는 병을 없애거나 건강 장수의 행운이 있다고 합니다. 예로부터 붉은 색은 호소신(疱瘡神, 포창신: 천연두를 가져오는 역병의 신)이 꺼리던 색의 의미를 가진 것에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최근에는 이러한 전통적인 의미에 더해 연애운과 금전운 등의 원하는 염원을 담아 핑크나 금색 등의 컬러풀한 마네키네코도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이미지: 마네키네코의 소지품의 의미, https://story.nakagawa-masashichi.jp/)

 
마네키네코(招き猫)가 들고있는 소지품에 따른 의미
마네키네코 하면 엽전을 들고있는 이미지이지만, 초기 마네키네코에게는 엽전은 없고 목줄에 방울을 매달은 모습이 대부분이었습니다. 이 방울이 점차 엽전으로 변해갔다고 합니다.
 

 

 
엽전: 엽전에는 금액이나 '개운(開運)', '초복(招福)'이라고 하는 재수 좋은 말이 써져 있습니다. 마네키네코에 담은 소원이 직접적으로 반영되어 있습니다. 재미있는 것은 엽전에 그려진 금액이 시대와 함께 '천냥, 만냥, 억만냥'으로까지 치솟아가는 점입니다. 작은 금액일수록 기본적으로 오랜된 것으로 보입니다.
오늘날은 엽전뿐만 아니라 도미나 오뚝이, 갈퀴, 도깨비방망이 등 다양한 행운을 가진 마네키네코가 등장하며, 다양한 모습만큼 다양한 소원이 존재한다고 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세토시(瀬戸), 도코나메시(常滑), 쿠타니(九谷) 등 산지 따른 마네키네코
마네키네코는 일본 각지에서 만들어 왔습니다. 3대 산지로 알려져 있는 것이 세토야키, 도코나메야키, 구타니야키의 야키모노(焼物, 흙으로 구워 만든 미술품, 도자기 등)의 산지입니다.
 

 

 
세토(瀬戸)형, 교토 유카리(縁, ゆかり)의 여우형태의 얼굴: 세토야키의 마네키네코의 뿌리는 교토 후시미이나리(伏見稲荷)의 참배길에서 팔리던 마네키네코에 있습니다. 마네키네코가 참배 선물로 인기를 끌었기 때문에 석고형을 사용해 도자기를 양산하던 세토에서 메이지 30년대경부터 만들어지게 되었습니다. 
오늘날 세토에서도 다양한 마네키네코가 만들어지고 있지만 원점인 고세토(古瀬戸)라고 불린 도자기 마네키네코는 여우얼굴과 날씬하고 폭이좁게 만든 호소미(細身)등으로 좀 더 진짜 고양이에 가까운 모습입니다. 또한 여러 개의 방울과 주름이 있는 앞치마를 달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손을 드는 방법이 절제된 것도 특징 중 하나입니다.
 

(이미지: 세토(瀬戸)형 마네키네코, https://story.nakagawa-masashichi.jp/)

 
도코나메시(常滑)형, 가장 알려진 마네키네코 스타일: 일반적으로 알려진 마네키네코라고 떠올리는 것이 도코나메시의 도자기 마네키네코입니다. 눈은 크게 뜨고 둥그런 이등신에 엽전을 품은 모습은 쇼와 20년대 후반에 태어났습니다. 그 뿌리는 아이치현 한다시(愛知県半田市)의 오토가와(乙川)인형에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미카와(河)지방의 흙인형(土人形)은 크고 박진감이 있는 인형이 많으며, 그 영향 때문인지 세토형과 비교하면 묵직한 형태로 되어 있습니다.
 

 

 

dokonameshi manekineko
(이미지:도코나메시(常滑)형 마네키네코, https://story.nakagawa-masashichi.jp/)

 
쿠타니(九谷)형, 극채색의 화려한 마네키네코
쿠타니야키의 마네키네코는 온몸이 극채색 문양으로 덮여 있거나 금채가 입혀지는 등 화려한 외형이 특징입니다. 위엄있는 표정으로 이국적 정서가 넘치는 모습은 해외의 동양에 대한 관심과 취미의 열풍을 타고 대부분 수출용으로 생산되고 있습니다. 일본 국내에서도 발견하기 어려운 형태라고 합니다. 귀가 옆으로 젖혀져 있거나 방울은 목 옆에 달려있고, 옆으로 앉은 형태의 것도 있습니다.
 

(이미지: 쿠타니(九谷)형 마네키네코, https://story.nakagawa-masashichi.jp/)

 
세토시(瀬戸), 도코나메시(常滑), 쿠타니(九谷) 등 산지 따른 마네키네코 외에도 교토의 후시미인형(伏見人形)과 도쿄 아사쿠사의 이마도인형(今戸人形)으로 대표되는 쯔치닌교(土人形)의 마네키네코, 군마현 다카사키시(群馬県高崎市) 센다이 등지에서 만들어지는 하리코(張り子) 마네키네코 등도 유명합니다.
 

 
 

<참고>
위 글은 <招き猫とは, 江戸から全国に広まった縁起物> 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https://story.nakagawa-masashichi.jp/)

 
일본의 문화에 대해 더 많이 알고 싶다면 아래를 클릭해 보세요.

2023.06.27 - [일본의 의복/일본의 전통 의복] - [일본의 의복] 기모노의 의미와 유래

 

[일본의 의복] 기모노의 의미와 유래

기모노(着物)란 기모노는 일본의 전통 의상입니다. 본래의 의미는 '입는 것 (着(き)る + 物(もの) = 着物 (きもの; 키모노))의 의미입니다. '일본 옷'을 총칭하는 뜻으로 '와후쿠(和服: 메이지 유신

monogotospacestory.tistory.com

 

2023.08.27 - [일본의 monogoto] - [다다미] 일본의 주거문화 ‘다다미(畳)'의 유래와 기능

 

[다다미] 일본의 주거문화 ‘다다미(畳)'의 유래와 기능

다다미(畳)의 시작과 어원의 유래 일본 문화의 대부분은 고대 중국이나 한반도 전래의 것이 많지만, '다다미(畳)'는 야마토(大和) 민족의 생활 지혜가 만들어낸 주거문화의 한 부분이라고 합니다

monogotospacestory.tistory.com

 

2024.04.24 - [일본의 전통과 공간/일본의 전통 건축] - [일본의 전통 건축] 일본의 세계 유산 '시라카와고(白川郷)의 갓쇼즈쿠리(合掌造り)'

 

[일본의 전통 건축] 일본의 세계 유산 '시라카와고(白川郷)의 갓쇼즈쿠리(合掌造り)'

시라카와고(白川郷)의 역사 시라카와촌(白川村)은 기후현(岐阜県)의 서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도야마현(富山県)과 연결되어 서쪽은 하쿠산산계(白山山系)를 거쳐 이시카와현(石川県)과 경계

monogotospacestory.tistory.com

2023.12.25 - [일본의 monogoto] - [일본의 모노고토] 일본의 국기(国技) '스모(相撲)'의 역사와 이해

 

[일본의 모노고토] 일본의 국기(国技) '스모(相撲)'의 역사와 이해

스모(相撲)의 역사스모는 일본의 전통문화이자 국기(国技)입니다. 그 기원과 원류를 따라가 보면, 신화를 살펴보아야 합니다. 일본의 문화에 깊이 뿌리를 두고, 항상 사람들의 생활과 함께 있었

monogotospacestory.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