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부키(歌舞伎)란
가부키는 일본을 대표하는 전통예술극으로 음악이나 무용과 일체가 된 연극을 말합니다. 흥미로운 이야기와 화려한 의상, 특징적인 분장을 한 배우가 펼치는 대담한 장면 등의 퍼포먼스가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배우의 특별한 분장외에도 가부키에는 다양한 볼거리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남성이 여성의 역을 연기하는 것이나, 대대적인 무대 장치가 있는 전용의 무대도 그러한 요소입니다. 이것은 관객을 즐겁게 하기 위한 다양한 궁리적 요소로 사용되며, 가부키의 주요 특징으로 오랜 역사를 거듭하면서 각 시대의 바람을 받아들여 항상 새로운 예능으로 남아 있습니다.
가부키(歌舞伎)의 역사
가부키는 약 400여 년 전 에도 시대에 태어난 일본의 전통적인 연극입니다. 그 뿌리가 된 것은 '오쿠니(お国)'라는 여성이 시작한 '가부키모노(傾奇者)'를 본떠 춤을 춘 '가부키 오도리(かぶき踊り)'라고 합니다. 처음에는 여성이 연기하는 온나가부키(女歌舞伎)나 미성년이 연기하는 '와카슈 가부키(若衆歌舞伎)'가 확산되었습니다. 그런데 풍기 문란해지는 사태가 발생하면서 막부가 가부키를 금지하게 됩니다. 그래서 시작된 것이 성인 남성만으로 연기할 수 있는 '야로가부키(野郎歌舞伎, 젊은 남자 가부키)'입니다. 그 후 남성이 여성을 연기하는 '온나가타(女方)'도 나타나 가부키는 새로운 연출 방법과 악기를 도입하면서 발전해 왔습니다.
가부키(歌舞伎)의 특징
가부키는 노래와 춤, 배우의 연기로 구성되어 있는 연극입니다. 가부키라는 말은 화려한 복장으로 거리를 누비던 사람들을 가리키는 가부키모노(傾奇者: 가부키모노는 무로마치 시대에서 에도 시대에 걸쳐 색다르고 화려한 차림을 하여 남의 눈을 끄는 언동을 일삼던 사람을 말함)에서 나왔습니다.
오날에도 배우는 호화로운 의상을 입고 눈에 띄는 분장을 하고 연기를 합니다. 그 중에서도, 눈 주위를 검게 칠하는 '쿠마토리(隈取: 가부키에서 배우의 얼굴 표정을 과장해서 분장(扮裝)할 때 청색·홍색의 선을 그림; 또, 그 무늬) 라고 하는 화장이 유명합니다. 원래 가부키는 에도 시대 당시의 사건을 주제로 한 서민용 연극이었습니다. 에도 시대 사람들에게는 현대극이며 친숙한 화제를 다루고 있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에게 받아들여져 인기를 끌었던 것입니다.
가부키(歌舞伎)의 주요 구성 요소: 음악
가부키의 주요 구성 요소는 음악, 무용, 연기 입니다. 가부키의 음악은 샤미센(三味線)을 사용하며, 크게 나누면 '노래'와 '이야기'가 있습니다. '노래'는 선율과 리듬 등이 중시되고 대표적인 음악은 '나가우타(長唄: 피리를 반주로 하는 에도시대에 유행한 긴 속요)'입니다. '이야기'는 가사에 서사성이 있고 흐름이 전개되는 내용에 무게가 실리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음악은 '기다유(義太夫), 토키와즈부시(磐津津), 키요모토(清元)'입니다.
가부키(歌舞伎)의 주요 구성 요소: 무용
무용은 가부키를 구성하는 요소 중에서도 특히 중요합니다. 가부키에서는 무용을 '쇼사고토(所作事: 연극 속에 짜여진 특수한 표정을 나타내는 춤)' 라고도 부릅니다. '나가우타부요(長唄舞踊), 마츠바메모노(松羽目物), 쿄겐부요우(狂言舞踊)' 등 무용의 종류는 다양합니다.
가부키(歌舞伎)의 주요 구성 요소: 연기
가부키의 연기는 과장될 때까지 감정을 알기 쉽게 표현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배우의 움직임이나 연출에도 관객을 끌어들일 장치적 요소가 있습니다. '켄도쿠(見得)'는 분위기가 고조되는 장면이나 중요한 장면에서 포즈를 취한 채 움직임을 멈추는 연기를 말합니다. 또 배우를 와이어로 리프팅 무대나 객석 위를 이동하는 '츄노리(宙乗り: 몸을 공중에 뜨게 하는 장치; 또, 그 연기)', 관객의 눈앞에서 신속하게 의상을 바꾸는 '하야가와리(早替り)' 등의 연출이 있습니다.
가부키(歌舞伎) 배우의 성별
가부키의 모든 역할은 남성이 연기를 합니다. 가부키는 어린이역 이외의 모든 역할이 남성에 의해서 연기되고 있습니다. 남성역을 '다치야쿠(立役)', 여성역을 '온나가타(女方)'라고 합니다. 온나가타는 여성이라고 하는 역할에 맞추어 의상이나 화장 등에 다양한 궁리를 하고 있습니다. 또 어깨를 숙여 매만진 어깨를 보이거나 부드러운 움직임을 보이는 것으로도 역할의 인물상을 연출하고 있는 것입니다.
전용 무대에서 상연되는 가부키(歌舞伎)
가부키는 연기를 행하는 무대에도 다양한 장치가 있습니다. '마와리부따이(廻り舞台, 회전무대)'는 무대에 원형의 갈라진 곳이 있어, 배우를 태운 형태로 바닥의 일부가 회전하는 장치입니다. 마와리부따이(회전무대) 위에 칸막이를 사이에 두고 두 장면을 준비하면 순식간에 장면 전환이 가능합니다.
관객들에게 현장감을 주는 것은 객석 옆에 마련된 '하나미치(花道)'입니다. 하나미치는 무대에 오르는 배우가 지나가거나 연기하는 통로로서 관객도 가부키의 세계에 있는 듯한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가부키의 무대에는 보고 있는 사람을 즐겁게 하는 많은 장치의 궁리가 숨어있습니다.
<참고>
위 글은 <日本の歌舞伎の特徴や歴史を簡単に解説!役者や人気の演目も紹介>을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https://we-xpats.com/ja/guide/as/jp/detail/10313/)
일본의 문화에 대해 더 많이 알고 싶다면 아래를 클릭해 보세요.
2023.11.01 - [일본의 monogoto] - [일본의 모노고토] 일본의 게임 오락기, '파친코(パチンコ)'의 유래와 이해
[일본의 모노고토] 일본의 게임 오락기, '파친코(パチンコ)'의 유래와 이해
파칭코(パチンコ)의 기원파칭코의 기원은 다이쇼시대입니다. 미국으로부터 유입된 '코린트 게임' 또는 유럽으로부터 들여온 '(월머신(ウォールマシン)'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파
monogotospacestory.tistory.com
2023.11.12 - [일본의 monogoto] - [일본의 모노고토] 일본의 보자기, '후로시키(風呂敷)'의 유래와 이해
[일본의 모노고토] 일본의 보자기, '후로시키(風呂敷)'의 유래와 이해
후로시키(風呂敷)란'후로시키'는 우리말로 '보자기'로 이해하면 될 것 같습니다. 옛날에는 '히라즈츠미(ひらづつみ)', '코로미츠츠미(ころもつつみ)'라고 하였습니다만, 에도 시대 목욕탕에서의
monogotospacestory.tistory.com
2023.12.29 - [일본의 monogoto] - [일본의 모노고토] 🥢일본의 젓가락 '오하시(お箸)'의 역사와 이해
[일본의 모노고토] 🥢일본의 젓가락 '오하시(お箸)'의 역사와 이해
일본의 젓가락(お箸, 일: 오하시)의 역사오늘날 젓가락을 사용하는 국가는 대표적으로 한국, 일본, 중국이 있습니다. 젓가락의 탄생은 지금으로부터 3000여 년 전 중국으로부터 시작됩니다. 인간
monogotospacestory.tistory.com
'일본의 monogoto'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의 모노고토] 접고 감싸는 문화 일본의 종이접기 '오리가미(折り紙)'의 유래 (1) | 2023.08.05 |
---|---|
[일본의 모노고토] 일본의 꽃꽂이 이케바나(生け花)의 역사 (1) | 2023.07.30 |
[일본의 모노고토] 일본의 신사(神社, 진쟈)와 절(お寺, 오테라)의 차이 (1) | 2023.07.21 |
[일본의 모노고토] 에도 시대에 성행한 유녀나 연극을 다룬 풍속화 우키요에(浮世絵) (1) | 2023.07.12 |
[일본의 모노고토] 일본의 여름 축제 하나비(花火)의 유래 (0) | 2023.07.02 |